top of page

Work Statement

(작업 노트, 작업 방향)

Eng    |    Kor

# 바이오그래피

 연세대학교에서 심리학/ 불어불문학 학사를 졸업하고, 영국 에딘버러 대학에서 전자음악작곡 석사를 졸업하였다. 유학 생활 하던 중 소리의 확장된 개념과 디지털 알고리듬의 새로운 방향을 경험하였고, 이를 계기로 디지털 언어 프로그래밍을 통해 다학제적 접근 방식을 가지고 미디어 아트라는 커다란 범주에서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주변 환경과 상호 생태적 환경을 조성하는 방식을 도입하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으며, 언어적 기호, 시간의 물리학, 무의식 환경으로의 통찰, 기억의 이미지와 현존 등과 같은 인문학적 주제를 디지털 알고리듬이 만들어 내는 환경 속에서 실현시키는 작업이 주를 이루며, 실내/ 실외 설치 작업, 무대 플랫폼에서의 라이브 퍼포먼스, 야외 알고리듬 시연 비디오 작업 등으로 작업 실행 방향을 다변화 시킨다. 주요 활동으로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다원예술Reboot 선정, 서울, 2021], [서울문화재단SOUNDS ON 음악 사운드아트특화사업 선정, 서울, 2021], [불완전한배열 : AAGAA, 초대전, 서울],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 다원예술 선정, 서울, 2020], [Equinox - interactive sound 설치, mythtakemuseum, 2019], [scatter:Encounter - real-time audiovisual 설치/ 해외 공연 레지던시, 아테네, 2019], [Digital graffiti - audiovisual 설치, 플로리다, 2019], [Artwork holiday, 파리, 2018], [HM^2 - 작곡/ 라이브 사운드, 도쿄, 2018], [Presence - audiovisual 설치, 사이아트스페이스, 서울, 2017], [아시아프 & 히든 아티스트 페스티벌, 서울, 2021/2018], [frame-reframe, 돈의문박물관 마을, 2018], [8회/ 10회 서울모던아트쇼, 2017/ 2018], [NeMaf 뉴미디어아트 페스티벌, 서울, 2016] 등이 있다.

 

# 작업 스테이트먼트

 본인은 피사체와 공간을 둘러싼 에너지 사이에서 생성될 수 있는, 하지만 우리가 미쳐 인지하지 못하는 '흐름'에 대한 이야기를 매체적으로 은유하고 비판한다. 인간으로서 주변을 온전한 감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과학적 근거는 시각에서부터 청각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문제는 우리의 이성과 감각을 판단의 기준으로 주변에 투영한다는 것이다. 최근에 벌어진 팬데믹 상황이 그렇다. 우리가 인지하기 힘든 미시 생태 환경이 인간계를 구성하는 환경의 범위보다 클 수 있고 보다 근본적일 수 있음을 감안한다면, 우리는 생태 에너지의 흐름을 다르게 보아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측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예술적 표현이 가진 범위를 벗어나 다학제적인 접근을 필요로 하는 요소들이 너무나도 많다. 이것은 위에서 밝혔듯이 본인이 다원예술을 추구하는 이유가 되는데, 그 중, 본인은 생태 에너지의 흐름이 가지고 있는 변화와 그 조건들을 예술 표현의 도구로 표현하고 interactive/ generative 디지털 알고리듬 구축을 통해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현상들에 작업의 포커스를 좁힌다. Interactive 작업의 경우, 생명으로 태어나서 가지게 되는 표현 도구 두 가지, 움직임과 목소리를 그 소재로 택하는데, 그 어느 생명체도 똑같은 움직임과 목소리를 가지고 세상을 살아가지 않지만, 누구나 가지게 되는 표현 도구인 것이다. 이에 작업은 다양한 민감도와 방향성을 포함, 현재 일어나는 물리적 현상과 순간들이 만들어 내는 실시간 흐름이나 구조의 연속성을 드러내는 방향으로 구현된다. Generative 작업의 경우, 진화와 생태학에서 얻어지는 근거들에서 디지털 알고리듬을 설계하고 이를 발현시키기 위한 하드웨어를 제작한다. 이 경우, 피사체 혹은 대상/ 공간의 범위는 인간의 인지 범위를 벗어나기도 하는데, 분자생물학, 음향물리학, 심리학 분야에서 실험과 리서치를 선행하고, ‘조건과 확률적 선별 및 변형’ 데이터 활용, 사운드의 물리적 변화와 오디오프로세싱, 피사체의 모습을 반영하는 비쥬얼라이제이션의 변형, 질감 작곡 등의 접근 방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 간극을 좁히며 작업 구현 과정을 밟아 나간다. 최근에는 비가시적인 매체로서 사운드 설치 플랫폼을 주로 진행해 왔는데, 이는 대상의 특징을 비가시적인 미시 생태 환경에서 찾아내어 생태 에너지의 표현과 순환의 다양한 측면을 은유하려는 의도와 연결이 된다. 특히, covid19의 영향으로 관심을 갖게 된 바이러스들의 생태 활동에서 영감을 얻어 인간계와의 대치 / 전복 / 비유 등과 관련한 철학적 담론과 소재를 찾게 되었으며, 특히, 바이러스의 예상치 못한 생명 활동이 담고 있는 흐름을 생태 에너지의 흐름으로 바라보고 이를 사운드 설치 작품으로 승화시키기도 하였다. [COVID19 : 공동 진화의 가능성, 갤러리 더 플럭스, 2021], [불완전한 배열 : AAGAA, 아트로직스페이스, 2021] 등의 최근 작업에서는 그러한 생태 에너지의 흐름에서 generative 알고리듬 설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으며, 발생적 생태 환경과 인간의 이상/ 허상 사이의 간극을 찾기 위한 인문학적 연구 또한 아티스트 토크 개최를 통해 전개하여 왔다.

bottom of page